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카드 무이자 할부 멸종위기

신용카드 무이자 할부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지난달부터 개정된 여신전문금융업법이 시행되면서 무이자 할부 비용의 절반 이상을 대형가맹점이 부담해야 하지만, 가맹점들이 이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무이자 할부나 할인, 쿠폰증정 등 판촉 이벤트 비용의 70% 이상을 카드사들이 부담해 왔다.

3일 카드업계 등에 따르면, 할인점 매출 1위인 이마트는 1일부터 삼성카드와 씨티카드 외 모든 신용카드의 무이자 할부 서비스를 중단했다. 신세계백화점 역시 제휴카드 외의 다른 신용카드의 무이자 할부 서비스를 새해부터 중단한 상태다.


이 외에도 대부분의 할인점, 백화점, 홈쇼핑, 오픈마켓, 온라인 쇼핑몰, 자동차 보험료 등에서도 무이자할부나 할인 이벤트 등이 올 들어 일제히 사라졌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5만원 이상만 구입하면 대부분 2~3개월 무이자 할부가 가능했던것과 달라진 모습이다.

할인이나 무이자 할부 서비스를 신용카드의 가장 큰 장점으로 여기던 고객들은 "더 이상 신용카드를 쓸 이유가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당연히 무이자 할부가 될 것으로 생각하고 카드를 냈던 고객과 직원이 실랑이를 벌이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무이자할부, 왜 중단됐나= 무이자 할부 서비스가 중단된 주된 이유는 지난달 개정, 시행된 여전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카드사와 대형 가맹점간의 마찰이 빚어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22일부터 시행된 '여신전문금융업법 개정안 감독규정'에는 대형가맹점이 카드사와 수수료율을 협상하는 과정에서 부당행위를 할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그간 카드사들은 마트나 백화점 등 연 매출 1000억원 이상의 가맹점을 확보하기 위해 과열 경쟁을 벌였다. 고객이 카드로 결제할 때마다 가맹점이 카드사에 지불해야 할 수수료를 깎아 주고, 심지어 무이자 할부나 쿠폰제공 등 이벤트 비용까지 카드사가 대부분 부담했던 것. 한 번에 많은 금액을 카드로 긁는 고객을 확보하고 있는 대형가맹점이 '갑'의 입장이었다.


그러나 법이 개정되자 상황도 바뀌었다.


개정 법안은 대형가맹점이 시행하는 판촉행사 비용의 50% 이상을 카드사가 부담해주면 이를 부당 행위로 간주한다. 이에 따라 카드사가 마케팅 비용을 부담하던 관행에 제동이 걸린 것. 그러나 대형가맹점 역시 마케팅 비용을 본인들이 부담할 수 없다며 거부하고 있어 카드사들이 무이자 할부 서비스를 중단한 것이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대형 가맹점 중에서 판촉행사의 50% 이상을 부담하겠다고 한 곳이 없어 당분간은 무이자 할부가 중단될 것"이라며 "기존에 이미 할부한 금액은 상관이 없으며, 신규 무이자 할부만 중단된다"고 말했다.


◆"소비자가 봉이냐"..카드 고객들 아우성= 무이자 할부가 중단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카드 고객들은 당황스러워하고 있다. 현재 육아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이 소식이 전해지자 고객들은 열을 올리고 있다.


국내 카드 소비자들의 대부분은 무이자 할부나 할인 등 부가서비스 때문에 카드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최근 한국소비자원이 카드 이용자 1000명을 조사한 결과 전체의 63.9%가 신용카드를 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용카드를 이용하는 이유로는 42.1%가 할인, 포인트 적립 등 부가서비스와 무이자할부를 꼽았다.


한 카드 고객은 "무이자 할부나 할인, 포인트 적립 등 혜택이 갈수록 줄어들면 신용카드를 쓸 이유가 없다"며 "올해부터는 소득공제 혜택도 줄어드는 만큼 신용카드 사용액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카드사들은 무이자할부 중단으로 고객들을 대거 잃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대형 가맹점에서 카드를 쓰지 않으면, 수익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수 있어서다.


이에 따라 각 카드사별로 제휴팀, 전략가맹점 영업팀, 지방 지점 등이 총 동원돼 개별적으로 협상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대형가맹점과 카드사간의 시각차가 커 타협점을 찾기가 어려워 보인다. 한 대형 가맹점 관계자는 "최근 여전법 개정으로 카드사에 지불하는 가맹점 수수료율까지 올려준 상황인데, 이벤트 비용까지 분담하긴 어렵다"고 잘라말했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은별 기자 silversta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