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동영상 광고 데이터, 사업자 부담해야…미래부, '제3의 포털' 육성 카드도 저울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아시아경제 박소연 기자]정부가 동영상 광고로 인해 발생하는 통신 데이터 비용을 사업자가 부담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정부는 상황에 따라 제3의 포털 사업자 육성 카드도 저울질 하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는 모바일 광고로 이용자의 데이터 소모가 크게 늘어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에 착수했다. 현재 모바일 광고 시청에 따른 데이터 소모 비용은 이용자가 지불하고 있다.

미래부 한 관계자는 "네이버, 카카오, 유튜브 등을 통해 동영상 시청시 이용자가 좋든 싫든 일정 시간 광고를 시청해야 한다"며 "이때 소비되는 데이터 비용 지불 주체가 현재 이용자지만 앞으로는 사업자가 부담해야 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광고로 인해 발생하는 데이터 비용을 무료로 제공하는 제3의 사업자가 등장하면 이용자들의 선호도가 높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장경쟁을 통해 데이터 비용 지불 주체가 자연스럽게 바뀔 수 있다는 뜻이다.

현재도 일부 서비스에 대해 데이터 비용을 사업자가 부담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SK텔레콤은 자사 가입자가 11번가에 접속할 경우 데이터 비용을 자체 지불한다. KT 역시 자사 가입 택시기사들이 카카오택시 콜을 이용할 경우 데이터 요금을 받지 않는다.


통상 HD화질로 15초 분량의 모바일 동영상 광고를 보는데 8메가바이트(MB)의 데이터가 소모된다. 스마트폰 이용자 1인당 월평균 120여편의 동영상을 시청한다고 가정하면, 대략 1GB의 데이터가 광고시청으로 소비된다.


가장 큰 문제는 광고시청에 따른 이 같은 비용에 대해 이용자가 정확한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따로 돈을 내지 않지만 할당된 데이터가 광고를 보는데 소진되기 때문이다. 데이터 충전 시 1GB당 1만3000~1만4000원 가량의 비용이 드는 것을 감안하면 이용자들이 사실상 돈을 내고 광고를 시청하는 셈이다.


문지현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최근 국내 LTE(4G) 보급률이 70%를 넘어서면서 모바일 동영상 사용량은 더욱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다"면서 "네이버와 카카오 등은 내년 모바일 동영상 광고 상품을 늘릴 전망"이라고 말했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