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부담 없이 귀농, 언제든 도시로…'귀농·귀촌주택'이 뭐길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4초

LH, 지역 따라 30~60가구 단지 건설
시범사업 설명회 지자체 몰려 성황
순환형 임대주택·리츠 등 접목 계획


부담 없이 귀농, 언제든 도시로…'귀농·귀촌주택'이 뭐길래
AD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지방에서 태어나 중학교를 졸업한 뒤 서울에서만 살아온 김정대(가명)씨는 내년이면 정년을 맞는다. 김씨는 은퇴 후 귀농하는 '인생 이모작'을 꿈꿔왔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시골에 땅을 사 집을 짓고 텃밭을 가꾸는 데만 수억원이 들어가는 비용이 가장 큰 걸림돌이었다. 그렇다고 전 재산과 마찬가지인 서울 아파트를 팔자니 두려움이 앞선다.


김씨와 같은 귀농·귀촌 희망자들이 보다 쉽게 꿈을 실현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급하는 귀농·귀촌주택이 준비되고 있어서다. 이 주택은 초기 비용부담이 적고 몇 년 살아본 후 여의치 않을 경우 다시 서울로 돌아올 수 있는 게 매력이다. '순환형' 임대주택인 셈이다. 김씨는 "도시 생활에 지친 노년층 대다수는 귀농·귀촌을 꿈꾸지만 적지 않은 자금 마련이 문제"라면서 "이 사업이 본격화하면 여러 지역을 비교해보고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LH의 귀농·귀촌주택에 대한 관심은 높다. 지난 7일 LH 진주 본사에서 열린 '귀농·귀촌 주택단지 시범사업' 설명회 자리에는 전국 자방자치단체 공무원과 투자자들 160여명이 몰려들었다. 귀농·귀촌 수요자가 많다는 방증이다.


현재 우리나라 도시화율은 91.7%로 전 국토의 16.6%인 도시지역에 전체 인구의 91.7%가 모여살고 있다. 반면 전 국토의 83.5%인 농어촌지역에는 인구의 8.3%만이 살고 있다. 이에 도시에선 젊은 층의 주거난이, 농어촌에선 공동화현상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LH가 이 같은 사업에 나서는 이유다.


귀농·귀촌주택은 사업은 지자체 공모방식으로 진행된다. 지역에 따라 30~60가구로 단지가 만들어질 계획이다. 개별 주택은 대지 330㎡에 건축면적 전용 85㎡ 수준이 될 전망이다. 임대보증금 1억3000만원에 월 임대료는 15만~25만원 안팎으로 추산된다. 주택은 에너지 절감형인 '패시브하우스'로 건설해 단독주택의 단점 중 하나인 난방비 등 유지관리 비용을 최소화한다.


사업 추진은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 방식을 활용한다. 투자에는 LH 외에 건설사를 비롯한 민간기업 등이 함께 참여한다. 사업을 빠르고 지속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다. LH는 건설사의 자금조달을 지원하면서 자산관리회사(AMC)로서 안전판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럼에도 민간에서 주도하는 민간임대주택이어서 입주자격, 임대조건 등에 제약이 없다. 사업성을 끌어올릴 수 있는 장치다.


LH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건설업체 등이 입지, 프로그램 등 최적의 상품을 만들 수 있도록 플랫폼사업모델(www.erhousing.org)을 기반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공급자와 수요자 등 참여자들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서로에게 새로운 부가가치와 혜택을 제공해주는 생태계를 말한다.


LH 관계자는 "귀농·귀촌주택사업에 순환형임대주택, 리츠, 플랫폼, 패시브하우스 등의 제도와 기술을 종합적으로 접목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도시지역에서 농촌지역으로 안정적인 인구 유입이 가능해지고 생애주기에 맞는 순환임대 거주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를 통해 낙후된 농어촌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동시에 도시 주거난을 해소하는 일거양득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