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LG에너지솔루션' 12월 분사‥내년 연말께 상장추진

수정 2020.09.17 13:33입력 2020.09.17 11:19

LG화학 오늘 이사회서 확정

[아시아경제 박소연 기자] LG화학의 배터리사업부문이 'LG에너지솔루션(가칭)'이라는 별도 법인으로 독립한다. LG화학은 올해 말까지 조직 개편과 인력 재배치 등을 포함한 배터리사업부문 분사 작업을 마치고 내년 말 기업공개(IPO)를 통해 대규모 자금을 유치, 설비 및 연구개발(R&D) 투자도 단행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4ㆍ18면


LG화학은 17일 오전 긴급이사회를 열어 전기차 배터리사업을 담당하는 전지사업부문 분사 안건을 확정했다. 전지사업본부는 자동차전지, 소형전지,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생산한다. 전지사업부문 분할 기일은 올해 12월1일이다. LG화학에서 전지사업 부문을 떼어내 100% 자회사로 삼는 물적 분할 방식이다. LG화학의 기존 주주들은 원래대로 LG화학 주식만 갖게 된다. 신설 법인명은 LG에너지솔루션이다.


새로 출범하는 LG에너지솔루션은 대규모 자금 조달을 위한 IPO도 추진한다. 내년부터 IPO를 준비해 이르면 연말께 상장할 계획이다. LG화학은 전지사업뿐 아니라 석유화학, 첨단소재, 생명과학 등으로 사업부문이 나뉘어 있는데 분사 이후에는 전기차 배터리로 대표되는 전지사업부문만으로 시장의 평가를 받게 된다.


업계에서는 LG화학의 이번 분할을 글로벌 배터리 1위 기업으로서의 공격 투자 선언으로 해석하고 있다. LG화학은 분사하는 전지사업부문의 지분을 100% 갖기 때문에 지배력을 유지하게 되고 향후 IPO 등을 통해 막대한 투자 자금을 끌어올 수 있다. IPO를 통해 마련한 자금은 폴란드, 미국, 중국 현지 공장의 증설 및 신설에 투입된다. LG화학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1위 기업으로 글로벌 완성차업체로부터 다량의 수주 물량을 확보했다. 지난해 말 기준 LG화학 전기차 배터리 수주 잔량은 150조원에 달한다.

이 물량을 소화하기 위해선 향후 10조원 규모의 투자금을 투입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자금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LG화학은 배터리 자회사의 지분을 모두 보유하는 만큼 지배력을 유지할 수 있고, 향후 상장이나 지분 매각 등을 통해 막대한 자금을 끌어올 수 있어 투자 확대 등 경쟁력이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진애 "김홍걸, 분양권이 재산 아니라니…상식 없는 분"
수정 2020.09.17 09:17입력 2020.09.17 07:48

"부부 사이 재산이더라도 신고 명확히 해야"

김진애 열린민주당 원내대표가 16일 국회에서 열린 제4차 추경안 관련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허미담 기자] 김진애 열린민주당 원내대표가 총선 당시 배우자의 아파트 분양권 신고를 누락해 논란이 된 김홍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대해 16일 "너무 상식이 없으신 분 아닌가"라고 일갈했다. 앞서 김 의원은 재산신고 누락 의혹에 '분양권이 재산 신고 대상인지 몰랐다'는 취지로 해명한 바 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보좌진 내지는 배우자의 실수다, 이런 식으로 얘기하는데 다 그냥 구실"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부부 사이의 재산이라고 하는 것은 재산 신고를 할 때 명확하게 밝히는 게 맞고, 분양권이 재산이 아니라는 건 너무 상식이 없으신 분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것도 밝혀진 이유가 예금이 늘어난 것 때문 아니냐"며 "통장에 (분양권 매각 대금으로) 11억 원 정도의 돈이 들어왔기 때문에 예금이 늘어났다. 그러다 보니 분양권이 빠졌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라고 했다.

또 '재산신고를 줄여서 하면 득이 되느냐'는 질문에 김 원내대표는 "솔직히 재산이 너무 많으면 선거 때 부담스러울 수 있다"며 "김 의원의 경우 총선 당시 (재산 신고를) 60억 원대를 했고, 부동산도 여러 채를 갖고 있었다. 당시 민주당이 그 부분에 대해 신경을 굉장히 썼기 때문에 혹시 (고의로 누락한 게 아니냐) 의심할 수가 있는 상황"이라고 답했다.


이어 "그동안의 활동이나 또 기업가가 돈이 좀 많으면 (국민이) 그런 건 내버려 두는 게 있는데, 샐러리맨을 했다던가 또는 그동안 수입이 별로 없었는데 이렇게 (재산이) 많으면 좀 의심을 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재산 고의 누락에 휩싸인 조수진 국민의힘 의원에 대해선 "조 의원은 연배가 높지 않고 기자 출신인데 18억여 원에서 (당선 후 재산이) 30억여 원이 됐다"며 "특히 조 의원이 본인과 배우자의 채권 5억여 원을 빠트린 것은 정말 이해 불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선거관리위원회의 조사가 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광복절 집회 참여하라" 사랑제일교회, 126만명에 문자…대국본 정체는
수정 2020.09.17 09:10입력 2020.09.17 09:10

사랑제일교회, '집회 독려 문자' 보도에 "경찰·언론 고발하겠다"

보석 취소로 재수감되는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담임목사가 7일 오후 성북구 사랑제일교회 앞에서 취재진에게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아시아경제 김가연 기자] 지난달 서울 광화문 집회 참석을 독려하는 내용이 담긴 문자메시지가 사랑제일교회 측에서 발송된 것으로 파악됐다. 교회 측은 시위를 주도한 대한민국바로세우기국민운동본부(대국본)와의 관련성을 거듭 부인했다.


16일 MBC에 따르면, 126만 명에게 발송된 광화문 집회 참석 독려 문자는 사랑제일교회 측 계정을 통해 발송된 것으로 조사됐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달 15일 집회 시작 3시간 전 문자 대량 발송 시스템을 통해 발송된 문자메시지에는 '8·15 집회가 합법'이라는 내용과 함께 대국본의 인터넷 카페로 연결되는 URL 링크가 첨부된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지난 7월8일 발송된 문자에는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담임목사의 글과 연결되는 링크가 첨부됐던 것으로 파악됐다.


사랑제일교회 측은 같은 계정을 이용해 신도들에게 문자를 발송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안내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대국본 사무실은 서울 성북구 사랑제일교회 안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랑제일교회 측은 재개발 조합과의 명도 소송을 벌이는 과정에서 명도 소송의 대상이 된 건물은 교회뿐 아니라 기독자유당, 대국본 등의 단체가 함께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또 지난달 초 한 일간지에 실린 8·15 집회 전면 광고에는 주최 대국본, 대회장 김경재 전 의원, 고문 전광훈으로 표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집회 당일 김 전 의원은 "전광훈 목사님으로부터 이것(선언문)을 읽으라고 제가 읽으라고 '지시'를 받았다"고 발언했다.


앞서 전 목사도 여러 인터뷰에 출연해 "이번에 제가 8·15 대회를 '기획'을 했다", "(신규 회원 접수가)지금 엄청나게 들어오고 있다. 우리 15명의 전화받는 '우리 교회' 직원들이 감당할 수가 없다" 등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이같은 점을 종합해 사랑제일교회가 사실상 8·15 집회를 주도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사랑제일교회 변호인단은 16일 입장문을 내고 "집회 참여 문자는 '교회 이름으로, 교회 번호로' 발송된 것이 아님을 분명히 밝힌다"고 반박했다.


변호인단은 "문자메시지에는 누가 보내는 메시지인지가 적혀 있음에도 이를 쏙 빼놓고 '(교회) 측'이라는 표현을 사용해 언론이 경찰 수사의 앞잡이 노릇을 하고 있다"며 발신 번호에 대해서는 "교회는 그 정보의 주체가 아니라서 언급이 어렵다. '8·15 문재인 탄핵 국민대회'에 참여한 수많은 시민단체 중 한 곳이 평소에 사용해온 번호"라고 했다.


또 "경찰만이 아는 사실을 특정 언론사에 함부로 유출한 경찰은 특정 언론사와 함께 공범으로, 피의사실공표 및 공무상 기밀 누설로 고발 조치할 것"이라며 "앞으로 일어나는 모든 일방적 수사 정보 유출에도 똑같이 즉각 형사고소하겠다"고 덧붙였다.




김가연 기자 katekim22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자동으로 다음기사가 보여집니다.
위로가기